Home My page Contact us Sitemap English Login
 
 
 
 
2015년 지자체 국내 전시회(박람회) 참가 지원사업 공고 내역
날짜 06 February 2015
파일


2015년 지자체 국내 전시회(박람회) 참가 지원사업 공고 내역
No. 사업기관 대상 지원내역 및 금액 지원규모 문의처
1 2014 서울시 중랑구 전시 참가비 • 대상업체 : 제조업을 영위하는 중랑구 소재(본사 또는 공장) 중소기업 • 대상전시회 : 2015년 개최되는 전시회 중 •  국내 전문 전시컨벤션시설에서 개최되는 전시회 • 한국전시산업진흥회(http://www.akei.or.kr) 인증 전시회 • 기타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국제규모전시회(박람회),EXPO 부스임차료 및 장치비의 50%이내 (200만원 한도) - 중랑구청 기업지원과, 주무관 권주희 Tel. 02-2094-1284
2 인천시 동구  동구 소재 업체로 2015년 개최하는 국내․외 전시회에 참가하려는 중소기업 전시장 부스 임차료 업체당 1,500천원(소요실비 범위 내)  - 동구청 경제과 기업지원팀 Tel. 032-770-6403
3 부천시 코엑스, 킨텍스에서 개최되는 국내전시(박람)회 부스,임차비,장치비등 1업체당 300만원 이내 지원 100개 기업 부천시 유영열 Tel. 032-625-2761
4 의정부시  국내외 전시회에 참가하고자 하는 관내 소재 중소기업으로서 아래 조건을 1개 이상 충족하는 기업 1. 전시회 참가신청일 현재 의정부시에 공장등록 된 기업. ※ 단 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거 공장을 등록하지 않아도 되는 소기업으로 사업장 면적 500㎡미만(종업원 50인 미만)이고 건축법상 용도가 “공장 또는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제조업소”인 기업은 가능 2. 타 지역 공장등록 업체로서 의정부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기업. 3. 창업보육센터, 경기북부벤처센터, 시니어 비즈플라자 입주 기업. • 기본부스임차료, 장치비, 홍보비/ 1개 기업당 국내전시회 100만원, 국외전시회 250만원 한도 • 국내 및 국외를 통합하여 1회만 지원하되, 신청수요 부족시 각각 지원 가능 국내 12개/ 국외 8개 기업 의정부시청 지역경제과 Tel. 032-828-2283
5 울산경제진흥원(울주군)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해당하는 지역 중소기업 • 국내 : 부스임차료, 200만원 한도 • 국외 : 부스임차료, 운송비, 통역비, 편도항공료(1인), 800만원 한도 - 울산경제진흥원 통상지원팀 과장 노상모 Tel. 052-283-7152 Fax. 052-700-7137
6 울산경제진흥원(울산)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해당하는 관내 중소기업 참가비, 부스임차비/ 소요비용의 50%이내(VAT제외), 업체당 300만원 한도  8개 기업 정도 (상반기) 울산경제진흥원 기업지원팀 사업담당자 Tel. 052-283-7133 E-mail. uepa7130@ uepa.or.kr
7 용인시 제조업 및 제조업 관련 서비스업(「중소기업기본법」제2조「같은법 시행령」제3조제1호)을 영위하는 관내 소재(본사/공장) 중소기업으로서 국내전시회에 참가하는 기업체 기업당 3백만원 한도 •  기본부스 임차료 : 100% 이내(최대 2백만원) ※ 기본부스(3m×3m 기준) 이외의 부스 임차료는 전액 업체 자부담 •  장치비, 홍보물 : 60% 이내(최대 1백만원) - 용인시 투자유치과 Tel. 031-324-3171 Fax. 031-324-2279
8 양주시 • 제조업 및 제조업 관련 서비스업(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및 시행령 제3조)을 영위하고 공장등록을 필한 양주시 소재(본사/공장) 중소기업 • 첨단ㆍ전략산업 등 최대 180만원【기본부스임차료(100%), 장치비 및 홍보물 제작비(60%)】 - 양주시청 기업지원과 기업지원(SOS)팀 Tel. 031-8082-6013
9 안성시 제조업을 영위하는 관내 중소기업 중 공장등록(공장등록 기준                     (제조시설 500㎡) 미만 업체 제외)을 하고 정상가동 중인 제조업체 기본부스임차료(100%), 장치비(60%), 홍보비(60%) 지원(국내 400만원, 해외 300만원 한도 지원) 국내 6개/ 해외 4개 기업 안성시 창조경제과 Tel. 678-2464,2462
10 시흥시 제조업(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및 시행령 제3조제1호)을 영위하는 관내 소재 중소기업 중 공장등록을 필한 업체 ※ 단 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거 공장을 등록하지 않아도 되는 소기업으로 사업장 면적 500㎡미만(종업원 50인 미만)이고 건축법상 용도가 “공장 또는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제조업소”인 기업은 가능 업체당 최대 300만원 한도 •  기본부스임차료 : 100%(1부스 지원) •  장치비, 홍보비 : 60% 36개 기업 내외 시흥시청 기업지원과 Tel. 031-310-6233
11 밀양시 밀양시에 주된 사무소 또는 사업장을 두고 공장등록을 한 중소 제조업체, 「소기업 및 소상공인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의 적용을 받는 소기업, 타 기관 및 단체, 협회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않고 업체 자부담으로박람회에 직접 참가하는 기업 기본부스 기준, 업체당 부스 임차비 2,000천 원 이내 지원 (업체당 년 2회 가능)  30,000천 원 경제투자과 기업지원담당 Tel. 055-359-5060
12 나주시 나주시 소재 제조업을 영위하는 업체로 공장등록을 필한 업체, 2015년 국내에서 개최되는 전시(박람)회에 참가하는 기업체  기업당 2,000천원 한도 내 (기본부스 임차료 : 80%이내, 장치비 : 60%이내, 홍보비 등 기타 : 전액 자부담) 20,000천 원 (전액시비) 나주시청 기업지원실 기업지원팀 Tel. 061-339-8294
13 군포시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에 참가하고자 하는 제조업을 영위하는 관내 소재(본사 또는 공장) 중소기업 • 부스임차료(100%), 장치비(60%), 홍보비(60%) • 국내 200만원, 해외 500만원 이내 지원 (1업체 1전시) 73개 기업 (국내 59개, 해외 14개) 군포시청 지역경제과 Tel. 031-390-0284, Fax. 031-390-0319
14 경기도 광주 제조업을 영위하는 관내 소재(본사 또는 공장) 중소기업 • 부스임차료, 부스장치비, 홍보물 제작 등 (기업당 3백만원(1회 한도) • 기본 부스 임차료 100%, 장치비ㆍ홍보물 제작 등 비용의 60%이내) - 기업지원과 기업SOS팀 Tel. 031-760-3787
15 김포시 제조업, 제조업관련 서비스업, 지식서비스산업(중소기업기본법 및 시행령 제3조제1항제1호)을 영위하는  김포시 소재(본사/공장) 중소기업으로  국내전시회 참가 예정인 기업 기업당 200만원 한도 •  기본부스 임차료의 100% (기본부스(통상 3m×3m) 이외의 부스 임차료는 전액 기업 자부담) •  장치비, 홍보비의 60% 이내 (단, 장치물 및 부속시설 운영에 따른 사용료 - 전기·통신료 등은 제외임) 13개 기업 김포시청 경제진흥과 기업SOS팀 Tel. 031-980-2284
16 광명시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에 참가하는 관내 소재(본사 또는 공장) 제조업을 영위하는 중소기업 • 기본 부스임차료(100%), 장치비(60%), 홍보비(60%) • 국내 전시회 : 기업당 최대 300만원 지원 40백만 원 (전액 시비) 광명시청 기업경제과 Tel. 02-2680-2268
17 오산시 국내에서 개최되는 전시회에 참가하고자 하는 오산시 소재(본사/공장)의 중소기업 국내에서 개최되는 전시회 참가기업에 대하여 기본부스 임차료등 지원 12,000천 원 (국비 6,000, 시비 6,000) 오산시 지역경제과 Tel. 031-8036-7572
18 횡성군 2015년 각종 국내외 전시․ 박람회 참가 관내 중소기업  기본부스(3m×3m) 임차료 등 업체당 연1회 최대 2,000천원 이내 45,000천원 -
19 고양시 고양시 관내 소재(본사/공장) 중소기업으로서 2015년도에 국내전시회에 참가하는 기업 업체당 2백만 원 한도 (기본부스 임차비 100%, 부스 장치비 및 홍보비의 60%) 50개 기업 + 예비 기업(10개) 고양시 마이스산업 육성과 전시컨벤션 사업팀 Tel. 031-8075-3515
20 이천시 제조업을 영위하는 이천시 소재(본사 또는 공장) 중소기업 국내전시(박람)회 참가비용 (기업당 2백만원(1회 한도) 이내) 지원 : 기본부스임차료(100%), 장치비(60%), 홍보물 제작(60%) 등 - 이천시청 기업지원과 기업SOS팀 Tel. 031-644-2277
21 서울시 송파구 전시 참가비  관내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  기업부스 임차료 지원(업체당 1백만원 범위내) - 경제진흥과 기업육성팀 Tel. 02-2147-2511~2514 / 02-2147-3865
22 충청북도 지방기업진흥원 •  사업기간 내 국내 전시·박람회에 참가를 희망하는 업체 •  도내 소재하는 본사 또는 공장등록을 필한 중소기업 •  제조업 또는 제조업관련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업체 부스임차료 지원 기업당 200만원 한도 ※ VAT 포함금액임 한도금액 내에서 업체당 년 1회 지원(1부스 기준) 30개 기업  (재)충청북도지방 기업진흥원 마케팅지원부 판로지원팀 신숙진 대리 Tel. 043-230-9752, Fax. 043-236-9120
23 창녕시 제조업을 영위하는 창녕군 소재 중소기업이며 상시근로자 수가 10인 이상인 기업 타 기관, 단체, 협회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지 않고 전액 업체 부담으로 국내 전시(박람회 포함)에 참가하는 기업 기본부스(조립, 2부스) 기준, 부스임차비의 100%지원(100만원 이내) 5,000천 원 창녕군청 경제도시실 기업유치팀 Tel. 055-530-1691
24 의왕시 의왕시 소재(본사 또는 공장, 사업자등록) 중소기업 중 제조업, 벤처기업, 지식서비스산업(중소기업육성자금 지원대상 업종에 한함) • 총 사업비 : 44,000천원 • 지원업체 수 및 소요비용에 따라 지원금액 변동 • 시에서 지정한 특별전시회 참가기업 지원(2개업체 이내) • 기본부스 임차료(1개) 100%이내  업체당 2,000천원이내 (25개업체 이내) 의왕시청 기업지원과 Tel. 031-345-2360
25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 울산시 관내 본사 또는 공장이 소재한 울산지역 특화산업 관련중소업체 • 부스임차료 및 장치비(*기본부스 기준) • 업체별 300만원 이내(VAT 제외) 7개 기업 내외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 심기원 과장 Tel. 052-287-3060/1, Fax. 052-287-3062, E-mail. simkw@kita.net
26 안산시 안산시 내에 사업장소재지(사업자등록) 또는 제조시설(공장등록)이 있는 전년도 수출액 2,000만불 이하인 중소기업 스임차료, 시설‧장비 설치비 2,800천원이내 국내 10개 기업 산업지원본부 기업지원과 전시회 지원담당자 함순영 Tel. 031-481-2626, E-mail. sweet815@korea.kr
27 김포시 오는 6월까지 상반기중 국내 전시회 참가 예정인 관내 중소기업 기본부스비와 장치설치비 및 홍보비를 포함 업체당 최대 200만원까지 13개 기업 경제진흥과 기업SOS팀 Tel. 031-980-2284
28 울주군 2015년 국내외에서 열리는 전시박람회에 부스로 참가하는 업체에 전시회 참가비용의 일부지원 부스비(2,000,000원 한도) 10개기업 정도 울주군 지역경제과 기업지원팀 Tel. 052-229-7383 울산경제진흥원 통상지원팀 Tel. 052-283-7152, FAX 700-7137
29 파주시 파주시 소재 중소기업 대상  • 부스임차료(100%), 장치비(60%), 홍보물 제작비 (60%) • 1업체당 1회, 200만원 이내  12개 기업  기업지원과 기업SOS팀 권나은 Tel. 031-940-4531 
30 경기도 성남시 • 관내에 등록된 중소·벤처기업(관내에 본사 또는 공장 소재) • 제조업 또는 제조업 관련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업체(단순 유통업체 제외) 기업당 최대 2,500천원(부스 임차료 및 기본장치비 100%, 홍보비 60%)  26개 기업 내외 기업육성부 기업지원파트 권새나 주임 Tel. 031-782-3052 
31 진주시 본사 및 지사(공장)가 진주시에 소재하는 중소기업 국가, 지방자치단체, 조합, 협의회, 협회 등의 지원을 받지 않고 전액 업체부담으로 참가하는 하는 업체(이중지원 배제), 실크업체 제외(별도 지원) •국내·외에서 개최되는 국제박람회(전시회)참가 부스임차료 •지원범위 : 업체당 2회 5,000천원 한도(단, 국내만 참가시 3,000천원 한도) •사업예산 : 50백만원 10개 기업 내외 진주시 기업통상담당관실 국제통상담당 Tel. 055-749-5279, Fax. 055-749-2823
32 충청남도 충남지역 내 본사, 공장, 연구소 소재기업 우선모집대상 : 업력 2~7년, R&D조직 없음 또는 TFT보유, 특허보유 없음~10건(14. 7. 1기준) 국내외 전시회 참가 지원 A. 국내외 개별전시회 참가지원- 국내 : 2,000 B. 바이오코리아2015 참가지원- 부스제공 10개 기업 내외 (재)충남테크노파크 바이오센터 김승용 Tel. 041-980-5458, E-mail. ksy@ ctp.or.kr
33 전라북도 전북도내 에너지 변환·저장 산업 관련 기업(제조업) (전북 소재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전담부서, 창업(기술)보육센터 입주기업, 도내 본사 및 공장(주사업장)) 국내 전시회/박람회 참가비 부스임차료 및 장치비, 운송비 최대 10백만원 (총사업비의 90% 이내) 기업 당 최대 12백만원 이내 전북테크노파크 신산업지원실 연료전지센터 임대환 주임연구원 Tel. 063-714-3393, Fax. 063-714-3390, E-mail. dhlim@jbtp.or.kr
34 광주광역시 5개 산업(광주 특화산업)에 해당하는 역내 중소기업 • (제조업종) 스마트가전산업, 복합금형산업, 생체의료용소재부품산업 • (서비스업종) 지식데이터산업, 디자인산업 전시회 참가 지원 (항공료 및 체재비는 기업부담) - 복합금형산업 사업활성화지원사업 한국금형산업진흥회 Tel. 062-945-1722
35 충청남도 충청북도 충청권 해당 산업 관련 기업체(본사, 공장, 연구소 중 1개 이상 충청권내 위치) ( 전자집적회로 제조업, 전기회로 개폐 보호 및 접속 장치 제조업, 도금 착색 및 기타 표면처리강재 제조업, 주형 및 금형 제조업, 전자기 측정 시험 및 분석기구 제조업, 기타 무선 통신장비 제조업 ) 국내외 전시회 참가지원 (총 사업비 중 20% 이상 기업부담 필수 부가세는 사업비에 포함되지 않으며, 기업이 100% 부담함 기업당 복수 지원 가능하며 복수 지원시 과제별 개별 신청 및 관리 필요 기업부담금 20% 이상시 가점 부여 25% ~ 35% : 1점, 36% ~ 45% : 2점, 46% ~ : 3점) 5백만원 이내 • IT융합센터 신국선 선임 Tel. 043-270-2411, FAX. 043-270-2499 E-mail. ks1004@cbtp.or.kr • 지역산업육성실 하진석 선임 Tel. 043-270-2812, E-mail. jinseok@cbtp.or.kr
3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에 사업자등록을 필한 생명융합지식산업 해당기업 • 1차산업 또는 3차산업 융합시스템 관련 기술/제품 보유기업, 1차년도 사업 수혜기업 우선지원 • 국내외 전시회 참가 지원(공동/개별) • 상담공간(부스전시 장치 포함), 통역 등 제반 비용 지원 • 항공료는 참가기업 부담 ※ 신청기업은 민간부담금 30%이상 부담 10개 기업 내외 6,750만원 (재)제주테크노파크 디지털융합센터 그린IT융합팀 박기석 전임연구원 Tel. 064-720-3741, E-mail. pks@ jejutp.or.kr 박순영 연구원 Tel. 064-720-3746, E-mail. psyislove@ jejutp.or.kr


Prev BIO KOREA 2016 포스터 디자인 공모전
Next BIO KOREA 2015 Preview 다운로드 안내